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3)
동해시, 대게와 킹크랩 (동해시, 추암 형제바위) 2016년 6월 19일 2007년부터 작은 무역회사의 수산부문 사업을 총괄하게 되어 동해시에서 3년을 보내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동해시는 망상해수욕장 바로 남쪽, 묵호와 북평이 합쳐지면서 생긴 새로운 지명인데요. 맑은 바닷가에 자리 잡고 있어서 경치는 말할 것도 없고, 여름은 무더위가 덜하고 겨울은 추위가 매섭지 않아 기후가 정말 좋습니다. 묵호항과 삼척 정라진항을 끼고 있으니, 신선한 해산물도 값싸게 먹을 수 있고 말이지요. 동해안으로 여행을 가신다면 회는 이 곳에서 드시길 추천 합니다. 관광객의 발길이 잦은 주문진이나 대포항 보다는 훨씬 실속이 있으실 겁니다. [게잡이 어업과 유통] 이곳에서 3년을 보내며 러시아산 대게와 킹크랩을 수입하는 일을 총괄했습니다. 당시에는 러시..
나이 마흔에 브리티시 록에 매료되다. 2016년 6월 18일 대부분의 우리세대와 마찬가지로 십대 시절에는 비틀즈와 사이먼 앤 가펑클을 좋아했지요. 스무살 무렵에는 디스코텍이라는 곳과 당시 전성기를 구가하던 마이클잭슨, 퀸 등의 서양 대중음악을 의식적으로 멀리했었습니다. 암울한 시대를 외면하고, 제국주의자들의 음악이나 듣는다는 건 역사에 대한 죄악이라는 엄숙한 시대정신을 온몸으로 받아들이던 시절이었으니까요. 그러던 사람이 나이 마흔이 넘어 우연히 직장 후배가 들려준 몇 곡의 음악에 이끌려 록 음악의 세계에 발을 딛게 됩니다. 록 음악에도 여러 씬이 있는데, 제 귀를 사로잡은 것은 브리티시 록과 얼터너티브 록이었지요. 오늘은 핑크플로이드, 레드 제플린, 너바나, 라디오헤드, 콜드 플레이의 곡들을 소개합니다. [핑크 플로이드 (Pink Floyd..
달천, Moon River 괴산 사람들은 이 강을 괴강이라 부르고 충주에서는 달천이라 부른다. 하지만, 나는 '달래강'이 좋다. 물이 달다하여 달내(감천, 감물)라 한다고도 하고 달래와 오라비의 슬픈 전설이 있어 달래강이라 부른다는 구전도 있지만, 달을 품은 내...그래서 '달내 (Moon River)'라 이름지은 것이리라. 가을 밤 개인하늘에 달이 뜰 때 제월대에서 바라보는 하늘의 달과 달 그림자를 품은 물의 풍광은 가히 선경이다. 달래강은 굽이마다 외세에 항거한 걸출한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한반도에서는 드물게 물줄기가 남에서 북으로 흐르기 때문이라는 속설도 있다. 속리산에서 발원한 '달래'는 쌍곡계곡의 맑은 물을 아우른 후 '느티울(느티여울)'에서 급류를 이룬다. 벽초 홍명희 선생이 살았던 우리마을 제월리를 지나 선조 때 충청..
설탕이야기 20여년의 세월을 설탕 무역에 종사하면서 체득한 설탕에 관한 얘기 몇토막 올립니다. (2016년 6월 17일) [설탕의 역사] 설탕은 인류가 오래전부터 섭취해 왔는데, 기록상으로는 알렉산드로스의 동방원정에 처음 나옵니다. 설탕이 전 세계적으로 보급된 것은 서유럽 제국들의 식민지 개척 시대, 아열대 식민지에 플랜테이션 작물로 사탕수수를 재배하면서부터입니다. 설탕은 통칭해서 설탕이라고 부르지만, 산업적으로는 크게 ‘원당’과 ‘정제당’으로 구분됩니다. 또 원료에 따라 사탕수수당(Cane sugar)과 사탕무당(Beet sugar)으로 나누며, 정제당의 가공형태에 따라 정백당(하얀 설탕), 황백당, 흑설탕으로 나뉩니다. 사탕무당은 주로 중부 유럽, 북미 등에서 생산되는데, 반제품인 ‘원당’단계를 거치지 않고 사..
나의 인터넷 세상 답사기 나의 인터넷 세상 답사기 - 달천 2016년 6월 13일 우리 세대는 1960년대에 대한민국에 태어나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거대한 변화의 소용돌이를 겪으며 50여년을 살아왔습니다. 지난 반세기의 생활사는 중세시대 천년동안의 변화, 혹은 그 이상의 격변일 거라고 합니다. 그 가운데 90년대 시작된 정보통신기술의 혁명은 아날로그시대에 유소년기와 청년기를 살아왔던 우리 세대에게는 축복이자 재앙이었습니다. 제가 처음 인터넷에 입문하게된 것은 90년대 중반, PC통신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시작되었지요. 삼풍백화점 붕괴 소식을 매스컴보다 먼저 통신을 통해서 접했던 경험은 이 세계로 좀 더 깊이 들어가게 된 계기였습니다. 하이텔/천리안/나우누리/유니텔이 등장하였는데, 하이텔과 천리안이 대학생 유저 중심이었다면, 당시 ..